반응형 전체 글57 시크릿. Secret. 우주의 기운을 끌어당김에 대하여. 2007. 끌어당김의 법칙(law of attractive)에 대하여 저자가 부와 성공을 이룬 사람들을 인터뷰하며 마치 아무도 몰랐던 비밀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책. 시크릿입니다. 그들에게는 어떤 성공의 비밀이 있을까요? 끌어당김의 법칙(law of attractive)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이란 현재의 생각이 미래의 삶을 나타낸다는 법칙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부정적이고 불평이 가득하면 현실에서 부정적이고 불평이 가득한 일들만 계속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긍정적이고 좋은 생각들만 하면 현실에서 긍정적이고 좋은 일들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죠. 즉, 우리가 가장 많이 생각하고 집중하는 대상이 우리의 삶에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생각들은 우리의 삶을 만드는 창조자라는.. 2022. 10. 30. [도서추천]공정하다는 착각.2020년(3) '열린 어젠다'의 오만 여기서 말하는 어젠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의 해결책은 교육이라는 관점이다. 이는 계층 상승을 바라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듯하였지만, 결과적으로 절망감을 안겨준 게 되었다. 실제로 엘리트 계층들의 부의 세습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이에 '오렌 카스'는 우리에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는데, 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볼 만한 요소가 많다. 먼저, 저소득 노동자들의 임금을 보전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라에서 저소득 조동자에게 시간당 보조금을 지금 하여 수준 있는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말한다. 이로써 그들이 사회에 유의미한 일을 할 수 있도록 보장을 해주어 일의 존엄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음으로 제조업과 공.. 2022. 10. 28. [도서추천]공정하다는 착각.2020(2) 능력주의의 허상 능력과 노력만 있으면 모두에게 계층 상승의 기회가 있을 거란 능력주의는 사람들을 성공자와 실패자로 분류하게 만든다. 더욱더 최악인 것은 성공자는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이룬 성공이라는 보상에 대해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생각과 함께 오만함에 빠져든다는 것이다.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능력과 노력이 부족한 사람들로 실패의 책임은 그들의 몫이라 여기게 한다. 실패자 자신 또한 자신의 무능력함을 느끼며 깊은 좌절감에 빠져들게 만든다는 점이다. 모두에게 성공의 기회를 보장해 주는 것이 과연 공정한 것일까? 세계화의 흐름 속에 태어난 능력주의는 빈부격차의 증대 속에 상류층과 일반 노동자 계급과의 벽을 더욱 단단하고 높이 쌓아 올리게 하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사.. 2022. 10. 26. [도서 추천] 공정하다는 착각. 2020. 마이클 샌델.(1) 포퓰리즘적 저항에 대한 이해 민주주의 위기의 시대. 외국인 혐오증이 점점 심해지고, 권위주의적 인물들에 대한 지지 역시 높아지고 있다. 주류 정당과 정치인들은 이에 대해 이민과 다문화주의에 맞선 인종주의와 외국인 혐오증의 반발로 치부하고 있다. 다른 일부는 이를 글로벌 무역과 신기술이 빚어낸 일자리 감소에 대한 불안으로 생기는 반발로 치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주류 정당과 집권 엘리트의 노동계급에 대한 공감 능력의 상실로 생긴 판단으로 그들이 무엇에 분노하고 있는지에 대해 헤아리지 못하고 있다. 그들의 불만은 단지 임금과 일자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존중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장 주도적 세계화의 결말 지난 40여 년간 주류 정당들이 앞세웠던 세계화 프로젝트의 결말이 드러나고 있다. 세계화.. 2022. 10. 25.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